Infomation

인공지능데이터전문가 AIDE 1급 자격증 후기 _ HRD 국민내일배움 수강 신청 방법, 2급과 비교

buji-learn 2023. 4. 16. 08:55

▼ AIDE 2급 자격증 후기 ▼

 

인공지능데이터전문가 AIDE 2급 자격증 후기 _ 풀패키지 유료 수강 및 시험 : 이 가격을 지불할 가

데이터 라벨링 컴퓨터는 엄청나게 복잡한 연산을 순식간에 풀어버릴만큼 똑똑하기도 하지만, 5살짜리 아이들도 풀 수 있는 고양이 사진과 강아지 사진을 구분하는 문제를 어려워할만큼 멍청(?)

buji-learn.tistory.com

 

HRD 수강신청

  20% 할인을 받긴 했었지만 쌩돈을 들여 수강했던 2급과 달리, 1급은 HRD 국민내일배움 강좌를 노렸다.

  최근 3달 정도 HRD-Net을 들락날락하며 봤을 때, 수강 기간은 매월 말 ~ 다음 달 20일 전후로 약 3주 정도이며, 수강 신청은 15일 전후에 시작되는 듯 하다. 즉! 지금이다!!! 오늘 들어가보니 한창 모집중이었다. 수강신청이 빨리 마감되는 편이니 빨리 서두르시길!

 

▼ HRD 수강신청 방법 ▼

  1. HRD-Net에서 크라우드웍스 찾기
  2. 교육과정 선택하기 : 1급 = 검수자(심화) / 2급 = 작업자(기초)
  3. 수강신청하기
  4. 선발 여부 확인하기
  5. 교육 시작

* 주의 : 크라우드웍스 학습시스템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 국민내일배움카드가 없는 경우는 선발이 취소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유의사항이 있으니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부터 데이터 라벨링 교육까지 - 크라우드웍스 가이드

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 방법 카드 신청 방법 1. 카드 발급 대상 여부 확인 2. 카드 발급에 필요한 준비물 확인 *2022년부터 3, 4학년 대학생들도 국민내일배움카드를 발급 가능 졸업까지 남은 수업

guide.crowdworks.kr

▼ AIDE 1급 수강신청 페이지 ▼  

 

직업훈련포털 HRD-Net

등록된 시간표가 없습니다.

www.hrd.go.kr

 

인공지능데이터전문가 AIDE 1급 강의 후기

   크라우드웍스의 데이터 라벨링 검수 방식은 '클릭'이다. 많이 발생하는 오류의 버튼을 체크하여 반려하면 된다. 검수 메세지를 따로 작성하지 않아서 좋았다. 다만 여러 건의 실습을 하다보면 마우스를 사용하는 손목에 무리가 갔다. 역시 쉬운 돈벌이는 없다.

  유료로 들었던 때와 달리 HRD 과정은 수강율이 중요한 이수 조건이어서 그런지 매 단계의 강의를 수강해야만 다음 강의로 넘어갈 수 있었다. 이전 단계의 수강이 끝나고 반영되는 시간이 소요되는 게 별로였다.

 

인공지능데이터전문가 AIDE 1급 시험 후기 

  심화 과정은 심화 과정이었다. 2급은 보기를 보면 기억이 날 만한 내용들이었다면, 1급은 RNN / CNN 의 차이점을 알고 있어야 한다거나, 따로 배운 두 가지 내용을 응용하여 물어보는 문제들이 있었다.

  실습 내용도 보거나 들었을 때 명확히 알 수 있는 2급과 달리, 1급은 다소 애매하다. 특히, 나에게는 이미지 관련 검수가 어려웠다. '바인딩할 때는 여유가 없도록 한다'에서 여유의 범위가 어느 정도인지 아직도 애매하다. '손목 중앙에 키포인트를 표시한다'에서 어느 쯤이 손목 중앙인지가 정확하지 않아 고통스러웠다. Computational 하지 않은 느낌이랄까. 반면, 자연어 관련 검수는 매우 순조로웠다. 

일정
매주 수, 토요일
2급 : 11:00 ~ 12:30
1급 : 14:00 ~ 15:30
문항 수
객관식 50문항
통과 기준
60점 / 100점
응시료
70,000원
결과
· 시험 종료 후 즉시 합격/불합격 발표
· 자격증 발급은 응시일로부터 3영업일 이내 다운로드 가능
Tip
· 강의 내용에서 시험 문제가 출제됨
· 온라인/재택으로 시험이 진행되니 안내문을 꼼꼼히 읽어볼 것.
: 시험 준비 과정, 부정행위 사례 

 

인공지능데이터전문가 AIDE 1급 vs. 2급

  0과 1밖에 모르는 컴퓨터가 두 수 사이로 이루어진 세상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관성있게 라벨링된 학습 자료가 필요하다. 인공지능데이터전문가는 데이터 라벨링을 하는 사람이다. 데이터가 놓여진 컨베이어 벨트의 앞쪽에 라벨링 작업자가, 뒤쪽에 검수자가 있다. 작업자가 만들고 검수자는 확인을 하는 분업 시스템인 거다. 불량은 만들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량으로 작업하면서 생긴 불량을 결과물로 내놓지 않도록 거르는 것도 중요하다. 불량을 걸러내기 위해서는 작업 기준뿐만 아니라 평가 기준도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거기에 수정 방안까지 제시하는 것이 검수자가 하는 일이었다. 숙지해야할 사항이 더 많아서 더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결과물로 내놓기 바로 전 단계라는 책임감이 요구되었다.